동영상편집2019. 11. 10. 23:20

요약

1. 동영상 파일을 연다.

2. 필터 항목에 로고넣기로 로고를 넣는다.

 

로고 만들기 참고

https://chobocomputer.tistory.com/25?category=1075377

 

유튜브에 동영상을 올릴때, 이메일이나 자기 채널 주소나, 기타 자신을 나타내는 글자나 그림을 동영상에 삽입한다. 아무것도 없을 때는 남이 내 동영상을 쓸 수도 있고, 로고를 넣음으로써 홍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로고를 다른용도로 쓰게 되면 동영상에 자막을 넣는 방법으로도 쓸 수 있다. 몇분 짜리 짧은 영상이 아니라 일상의 긴 시간을 보여주는 것은 큰 편집 없이 로고를 넣는것 만으로도 충분하지 않나 싶다.

여기서는 로고를 넣는 법을 실습한다. 

 

 

 

 

 

1. 동영상 파일을 avidemux 로 연다.

2. 비디오출력을 x264로 바꾸고 필터를 클릭한다. 로고 넣는것은 인코딩이 필요 하기 때문에 copy로 안된다.

 

3. 로고 추가를 더블클릭한다.

 

4. 이미지를 선택하면 로고창에 로고가 표시된다. 동영상이 있는 곳 위에서 클릭하면 로고가 있는 위치를 대략적으로 옮길 수 있다. x 와 y는 정확한 위치를 조정할때 쓰이는 것이고, 알파는 로고를 투명 정도를 변화 시킨다. fade-in/out은 처음에 로고가 없다가 천천히 나타나는 것을 뜻한다. 

5. 로고를 몇초간 나타냈다가 사라지게 만들때는 필터에 로고가 추가된 상태에서 우클릭 -> 부분적으로 만들기를 클릭한다. 

6.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현재 로고의 등장과 사라지는 시간을 조절 할 수 있다.

7. 설정이 다 되었으면, 닫기를 클릭하고, 파일을 저장한다.

 

 

'동영상편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idemux를 이용한 동영상 나누기  (0) 2019.11.10
avidemux를 이용한 동영상 합치기  (0) 2019.11.10
Posted by 수박맛사탕
동영상편집2019. 11. 10. 22:34

요약

1. 분해할 동영상 파일을 연다.

2. 구간을 정하고 잘라내고 저장한다.

 

avidemux를 이용해서 동영상을 나누어 본다. 참고로, 동영상 나누는 것은 몇번 해보지 않았으나, avidemux로 몇번 테스트 해 봤을때 초단위로 정확하게 나누어 지진 않았다.

 

 

 

 

 

 

 

1. 먼저 분해할 동영상을 연다. 여기서 쓸 파일은 앞서 합치기에서 나온 결과물을 사용한다.

 

2. 나눌때 쓰는 것은 아래쪽 슬라이더와, a와 b 가 적혀있는 아이콘이다. a는 시작부분, b는 끝나는 부분을 의미하며, 슬라이더를 맨 앞쪽으로 두고 a를 클릭한다.

 

3. 슬라이더바 전체가 파란색 블록으로 선택되었다. 슬라이더를 가운데나 적당한 곳으로 옮겨서 b아이콘을 누른다.

 

4. 여기서는 2번 동영상으로 넘어가는 경계를 선택했다. 참고로, 정확히 파란블록으로 선택이 안되는데, 그럴땐 재생 버튼을 눌러 재생시켰다가 멈추면, 제대로 선택할 수 있다.

5. 비디오 출력과 출력 형식을 조정한다. x264와 mkv를 선택하는데, copy모드 사용시 에러가 발생 할수 있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6. 파일 ->  저장을 클리하고 파일명을 입력하여 파란블록으로 선택된 영역을 저장한다.

 

7. 1번 파일은 저장되었고, 나머지 부분을 저장한다. 편집-> 표시 초기화를 클릭해서 파란블록 영역을 삭제하고, 다시 a와 b아이콘으로 나머지 파란블록 영역을 설정한다.

8.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나머지 영역을 2번으로 저장한다.

 

 

 

 

 

 

Posted by 수박맛사탕
동영상편집2019. 11. 10. 21:07

요약

1. avidemux 를 이용해 원본 파일을 불러온다.

2. 두번째 파일을 불러오고, 합치기 또는 인코딩을 한다.

 

 

 

유튜브에 동영상을 올린다던지, 기타의 이유로 동영상 편집이 필요할 때가 있다. 많은 기능 필요없이 단순한 기능 몇개만 필요할때 avidemux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면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내가 아는 만큼, 현재 쓰고 있는 몇몇 기능을 알려 주려 한다. 영어가 된다면 youtube 에서 avidemux 찾아보면 영어로된 자료가 좀 나온다.

 

나는, 동영상에 대해 전문적으로 배워본적이 없다. 책도 ffmpeg 관련해서 몇 페이지 읽은게 전부이고 ,내 머릿속에 정보를 적는거라 용어와 내용이 좀 틀릴 수 있음을 미리 밝힌다.

 

 

 

먼저, 동영상 두개 합치기이다.

 

두 동영상의 확장자, 코덱, 사이즈, 등 대부분의 요소가 같고, 단순히 두 동영상을 이어 붙이는 것이라면, 복사하기를 쓸수 있다. 영어로는 copy라고 되어 있다.

아니면 동영상 구성정보가 다르거나, 로고를 넣는다거나, 필터를 넣게 되면 인코딩을 해야 된다. 

 

copy와 인코딩의 차이는 결과적인 면에서 보자면 copy는 화질과 음질의 저하가 없으나, 인코딩은 저하가 생기게 된다. copy를 할 수 있으면 하는것이 좋고, 안되면 인코딩을 해야 한다. 인코딩을 하면 할 수록 화질과 음질이 나빠지게 되기 때문에, 최대한 적게 해야 된다. 또하나, 인코딩을 하게 되면 시간도 더 걸리고, 컴퓨터 사용률도 올라 간다.

 

 

 

 

 

 

 

1. 1번 동영상을 연다. 아래 그림에서 파일 -> 열기 를 순서대로 클릭하거나, 열기 아이콘을 누르고 1번 동영상을 연다.

 

 

2. 열고나면 아래 사진의 상태가 된다. 화면 오른쪽에 1번 동영상의 모습이 보인다. 

 

3. 2번 동영상을 연다. 파일 -> 덧붙이기를 클릭하고 2번 동영상을 연다.

 

4. 화면 아래쪽 슬라이더를 좌우로 옮기면 1번과 2번 동영상이 합쳐 진 것을 알 수 있다.

 

5. 동영상 정보가 똑같다면 비디오 출력에서 copy를 그대로 두고, 잘 모르겠다면 copy 부분을 클릭해서 mpeg4 avc(x264)로 바꾼다. mpeg4 avc(x264)를 선택하는것이 바로 인코딩이다. 그리고 아래쪽에 출력형식이 있는데, mkv를 선택한다. 출력형식은 확장자가 되는데, mkv가 요즘 많이 쓰이는 것 같다.

 

 

6. 다 되었으면 저장을 한다. 저장 버튼을 누르고, 파일명을 입력하면 잠시 후 파일이 생성된다.

 

 

 

 

 

 

 

Posted by 수박맛사탕